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혼성 2000m 계주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혼성 2000m 계주는 2022년 2월 5일에 진행되었으며, 총 12개국이 참가했다. 결승 A조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이 금메달, 이탈리아가 은메달, 헝가리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, 캐나다는 페널티를 받았다. 결승 B조에서는 네덜란드가 1위, 카자흐스탄이 2위를 기록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2022년 동계 올림픽 혼성 종목 - 2022년 동계 올림픽 루지 단체 계주
2022년 동계 올림픽 루지 단체 계주는 남녀 1인승과 2인승 출전권을 획득한 국가들이 참가하여 독일이 금메달, 오스트리아가 은메달, 라트비아가 동메달을 획득했고, 대한민국은 8위를 기록했다. - 2022년 동계 올림픽 혼성 종목 - 2022년 동계 올림픽 컬링 믹스더블
2022년 동계 올림픽 컬링 믹스더블은 2월 2일부터 8일까지 베이징 국립 수영 센터에서 열렸으며 이탈리아 금메달, 노르웨이 은메달, 스웨덴 동메달, 총 10개국 참가로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. -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-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
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세부 종목으로, 캐나다가 금메달, 대한민국이 은메달,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. -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-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
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는 예선, 준결승, 결승으로 진행되었으며, 황대헌이 금메달, 스티븐 뒤부아가 은메달, 세묜 옐리스트라토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. - 올림픽 쇼트트랙 -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
2018년 2월 10일부터 22일까지 평창에서 개최된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은 남자 500m 우다징 금메달, 여자 3000m 계주 대한민국 금메달 등 다양한 기록이 나왔으며 총 8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이 펼쳐졌다. - 올림픽 쇼트트랙 - 201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
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에서는 빅토르 안의 활약으로 러시아가 강세를 보였고 박승희의 금메달과 여자 3000m 계주 금메달로 대한민국이 쇼트트랙 강국임을 입증했다.
| 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혼성 2000m 계주 - [올림픽 종목 정보]에 관한 문서 | |
|---|---|
| 올림픽 종목 정보 | |
| 연도 | 2022 |
| 종류 | 동계 |
| 종목 | 혼성 2000m 계주 |
| 개최국 | 중화인민공화국 |
| 개최지 | 베이징 |
| 경기장 | 베이징 수도 체육관 |
| 기간 | 2022년 2월 5일 |
| 참가 선수 | 48 |
| 참가국 | 12 |
| 금메달 국가 | CHN |
| 은메달 국가 | ITA |
| 동메달 국가 | HUN |
| 다음 | 2026 |
| 역대 올림픽 쇼트트랙 | |
2. 경기 일정
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 (UTC+8) 기준이다.[1]
| 날짜 | 요일 | 시간 | 구분 | 비고 |
|---|---|---|---|---|
| 2022년 2월 5일 | 토요일 | 21:23 | 혼성 2000m 계주 준준결승 | |
| 21:53 | 혼성 2000m 계주 준결승 | |||
| 22:18 | 혼성 2000m 계주 결승 B | |||
| 22:26 | 혼성 2000m 계주 결승 A | 금메달 결정전 |
202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혼성 2000m 계주는 준준결승, 준결승, 결승(결승 A, 결승 B) 순서로 진행되었다.[1]
3. 참가국
4. 경기 결과
4. 1. 준준결승
2022년 2월 5일 토요일 21시 23분에 준준결승 경기가 진행되었다. 각 조 상위 2팀과 각 조 3위 팀 중 기록이 가장 좋은 2팀이 준결승에 진출했다. 대한민국은 1조 3위를 기록하여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.[1]
| 순위 | 조 | 국가 | 선수 | 기록 | 비고 |
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1 | 취춘위, 판커신, 우다징, 런쯔웨이 | 2:37.535 | Q | |
| 2 | 1 | 아리안나 폰타나, 마르티나 발체피나, 유리 콘포르톨라, 안드레아 카시넬리 | 2:38.308 | Q | |
| 3 | 1 | 최민정, 이유빈, 황대헌, 박장혁 | 2:48.308 | ||
| 4 | 1 | 니콜라 마주르, 카밀라 스토르모프스카, 미하우 니에빈스키, 우카시 쿠친스키 | 2:50.513 | ||
| 1 | 2 | 쉬자너 스휠팅, 크산드라 펠제부르, 이츠하크 더라트, 옌스 판 엇바우트 | 2:36.437 | Q, OR | |
| 2 | 2 | 코트니 사로, 플로랑스 브뤼넬, 스티븐 뒤부아, 파스칼 디옹 | 2:36.747 | Q | |
| 3 | 2 | 야나 한, 올가 티호노바, 데니스 니키샤, 아브잘 아즈갈리예프 | 2:43.004 | q | |
| 4 | 2 | 티파니 위오마르샹, 그웬돌린 도데, 세바스티앵 르파프, 캉탱 페르코크 | 2:51.221 | ||
| 1 | 3 | 야서파티 페트러, 코녀 조피어, 류 사오린 샨도르, 존헨리 크루거 | 2:38.396 | Q | |
| 2 | 3 | 소피야 프로스비르노바, 예카테리나 예프레멘코바, 세묜 옐리스트라토프, 콘스탄틴 이블리예프 | 2:38.445 | Q | |
| 3 | 3 | 크리스틴 산토스, 마메 바이니, 앤드루 허, 라이언 피비로토 | 2:39.043 | q | |
| 4 | 3 | 기쿠치 유키, 기쿠치 스미레, 요시나가 가즈키, 기쿠치 고타 | 2:39.112 |
4. 2. 준결승
준결승은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. 각 조 상위 2팀은 결승 A에 진출하고, 나머지 팀은 결승 B에 진출했다.[1]| 순위 | 조 | 국가 | 선수 | 기록 | 비고 |
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1 | 캐나다 | 코트니 사로 킴 부탱 조르당 피에르질 파스칼 디옹 | 2:36.808 | QA |
| 2 | 1 | 이탈리아 | 아리안나 폰타나 마르티나 발체피나 피에트로 시겔 안드레아 카시넬리 | 2:36.895 | QA |
| 3 | 1 | 카자흐스탄 | 야나 한 올가 티호노바 데니스 니키샤 아브잘 아즈갈리예프 | 2:42.575 | QB |
| 4 | 1 | 네덜란드 | 쉬자너 스휠팅 셀마 파우츠마 싱키 크네흐트 옌스 판 엇바우트 | 2:51.919 | QB |
| 1 | 2 | 헝가리 | 야서파티 페트러 코녀 조피어 류 사오앙 류 사오린 샨도르 | 2:38.052 | QA |
| 2 | 2 | 중국 | 취춘위 장위팅 우다징 런쯔웨이 | 2:38.783 | QA |
| — | 2 |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| 소피야 프로스비르노바 옐레나 세료기나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콘스탄틴 이블리예프 | PEN | |
| — | 2 | 미국 | 크리스틴 산토스 코린 스토더드 앤드루 허 라이언 피비로토 | PEN |
4. 3. 결승
결승 A조에서는 취춘위, 판커신, 우다징, 런쯔웨이가 출전한 중화인민공화국이 2분 37초 348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하였다.[1] 아리안나 폰타나, 마르티나 발체피나, 피에트로 시겔, 안드레아 카시넬리가 출전한 이탈리아는 2분 37초 364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.[1] 야서파티 페트러, 코녀 조피어, 류 사오앙, 류 사오린 샨도르가 출전한 헝가리는 2분 40초 900으로 동메달을 차지하였다.[1] 플로랑스 브뤼넬, 킴 부탱, 스티븐 뒤부아, 조르당 피에르질이 출전한 캐나다는 페널티를 받았다.[1]
결승 B조에서는 쉬자너 스휠팅, 셀마 파우츠마, 싱키 크네흐트, 옌스 판 엇바우트가 출전한 네덜란드가 2분 36초 966으로 5위를 차지했고, 야나 한, 올가 티호노바, 아딜 갈리아흐메토프, 데니스 니키샤가 출전한 카자흐스탄은 2분 44초 148로 6위를 차지했다.
| 순위 | 국가 | 선수 | 기록 | 비고 |
|---|---|---|---|---|
| 결승 A | ||||
| 중화인민공화국 | 취춘위, 판커신, 우다징, 런쯔웨이 | 2:37.348 | ||
| 이탈리아 | 아리안나 폰타나, 마르티나 발체피나, 피에트로 시겔, 안드레아 카시넬리 | 2:37.364 | ||
| 헝가리 | 야서파티 페트러, 코녀 조피어, 류 사오앙, 류 사오린 샨도르 | 2:40.900 | ||
| 4 | 캐나다 | 플로랑스 브뤼넬, 킴 부탱, 스티븐 뒤부아, 조르당 피에르질 | PEN | |
| 결승 B | ||||
| 5 | 네덜란드 | 쉬자너 스휠팅, 셀마 파우츠마, 싱키 크네흐트, 옌스 판 엇바우트 | 2:36.966 | |
| 6 | 카자흐스탄 | 야나 한, 올가 티호노바, 아딜 갈리아흐메토프, 데니스 니키샤 | 2:44.148 | |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